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Web3, 알고 투자하기! 진짜 투자를 위한 첫걸음

by 바로천사 2025. 4. 4.

Web3는 이제 단순한 유행어가 아닙니다. 인터넷의 새로운 질서이자, 투자자가 반드시 이해해야 할 미래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Web3는 뭔가 새로운 것”이라고만 느끼고, 구체적인 방향이나 핵심 구조를 놓치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Web3에 제대로 투자하기 위해 꼭 이해해야 할 세 가지 핵심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 목차

  1. Web3는 '인터넷의 주인'을 바꾸는 프로젝트다
  2. Web3 프로젝트는 '코인'이 아니라 '경제'다
  3. Web3 투자는 '기술 투자'가 아닌 '사람 투자'다

Web3는 '인터넷의 주인'을 바꾸는 프로젝트다

Web3를 이해하려면 Web1과 Web2부터 짚어야 합니다. Web1은 정보를 보기만 하던 시대(예: 초기 웹사이트), Web2는 소셜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직접 올리고 소통하던 시대(예: 유튜브, 인스타그램)였습니다.

그런데 Web2의 문제는 ‘모든 권력과 수익이 플랫폼에 집중된다’는 점이었죠. 사용자는 콘텐츠를 만들고, 활동도 하지만, 광고 수익은 구글·메타가 가져가는 구조입니다.

Web3는 이 구조를 완전히 바꾸려 합니다. “내가 만든 데이터, 내가 소유하고 통제하겠다.” 이를 위해 등장한 것이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탈중앙화된 앱(DApp), 그리고 NFT 같은 디지털 자산입니다.

즉, Web3는 기술이 아니라 소유권과 권한의 이동입니다. 이걸 이해해야 Web3 프로젝트에 투자할 때 ‘왜 이게 중요한지’를 감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Web3 프로젝트는 '코인'이 아니라 '경제'다

많은 사람들은 Web3를 코인 가격으로만 판단합니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그 안에 설계된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Web3 게임이 있다고 합시다. 그 게임에서 쓰이는 코인이 단순히 거래만 된다면, 유행이 끝나면 사라지겠죠. 하지만 그 코인이 플레이 보상, 거버넌스 투표, 아이템 제작, 콘텐츠 창작 보상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면? 그건 단순한 '화폐'가 아니라, 그 게임의 ‘경제 시스템’이 됩니다.

Web3 프로젝트의 코인은 단순한 투자 대상이 아니라, 그 생태계 전체를 굴리는 동력입니다. 이 때문에 토큰의 분배 구조, 팀과 유저의 비율, 유통 시기, 소각 메커니즘 등을 반드시 살펴야 합니다.

즉, Web3 투자는 '가격'이 아니라 ‘경제 구조’를 보는 투자여야 합니다. 그 경제가 사람을 모으고,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다면 코인의 가치도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되죠.

Web3 투자는 '기술 투자'가 아닌 '사람 투자'다

Web3의 성공은 코인의 기술력보다, 얼마나 사람들이 참여하고 머무르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탈중앙화된 시스템은 자동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 안에 사람이 있어야, 의미가 생깁니다.

예를 들어, 아무리 똑똑한 NFT 플랫폼이라도 크리에이터가 작품을 올리지 않으면 무용지물이죠. 반대로, 기술이 부족해도 강력한 커뮤니티가 있으면 프로젝트는 살아납니다. 이더리움, 솔라나, 아발란체 등 성공한 Web3 생태계의 공통점은 강력한 커뮤니티와 참여자 기반입니다.

그래서 Web3에 투자할 때는 반드시 ‘이 프로젝트에 사람이 모이는 이유가 있는가’, ‘사용자가 기여하고, 돌아올 유인이 설계되어 있는가’를 봐야 합니다.

기술은 점점 비슷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차이를 만드는 건 사람이고, 그 사람이 만드는 네트워크가 결국 가치를 결정합니다.


Web3는 단순한 ‘다음 코인’이 아닙니다. 그것은 새로운 경제, 새로운 사회 구조, 그리고 새로운 인터넷입니다.

투자자는 더 이상 가격만 볼 수 없습니다. 누가 소유하고, 어떻게 운영되며, 어떤 사람이 여기에 모이는지 그 전반을 읽어내야 진짜 기회를 잡을 수 있어요.

《Web3, 알고 투자하기》 시리즈는 단순히 “오를 코인”이 아니라 “플랫폼”을 찾는 사람들을 위한 이야기입니다.